AI Research22
-
Revisiting Modularized Multilingual NMT to Meet Industrial Demands
시작하며 카카오엔터프라이즈 AI Lab(류성원, 손보경, 양기창, 배재경)이 쓴 논문 ‘Revisiting modularized multilingual NMT to meet industrial demands’가 EMNLP 2020에 게재됐습니다. 자연어처리에서 경험적 방법론을 다루는 이 학회는 ACL(Association for Computational Linguistics), NAACL(NORTH American Chapter of the ACL)과 함께 전산언어학 분야에서는 인지도가 높습니다. 올해에는 총 3,677편의 논문 중 754편이 통과됐습니다. 이번 논문에서 AI Lab은 M2NMT(Modularized Multilingual Neural Machine Translation Model)의 가..
AI Research 2020. 11. 11. -
한국어 질의응답에서의 화제성을 고려한 딥러닝 기반 정답 유형 분류기
시작하며 카카오엔터프라이즈 AI Lab(조승우, 최동현, 김응균)이 쓴 논문 ‘한국어 질의응답에서의 화제성을 고려한 딥러닝 기반 정답 유형 분류기’가 제31회 한글 및 한국어정보처리 학술대회에 실렸습니다. 한글날을 맞이해 매년 10월마다 열리는 한글 및 한국어정보처리 학술대회는 전산언어학과 언어학, 인공지능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의 연구 논문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번 논문에서 AI Lab은 한국어 질의응답 시스템의 입력 질의 문장을 단답형/서술형으로 분류하는 모델을 제안했습니다. 모델의 분류 성능을 높이고자 육하원칙 정보와 포털 서비스 쿼리에서 추출한 화제성을 가진 주제어와 속성 표현도 함께 입력하는 방식으로 모델의 분류 성능을 높였습니다. 실험 결과, AI Lab이 제안한 추가 정보를 모두 적용한 모델의..
AI Research 2020. 10. 21. -
RYANSQL: Recursively Applying Sketch-based Slot Fillings for Complex Text-to-SQL in Cross-Domain Databases
시작하며 카카오엔터프라이즈 AI Lab(최동현, 신명철, 김응균)과 성균관대학교(신동렬)는 스파이더 챌린지(SPIDER Text-to-SQL Challenge) 성과를 바탕으로 한 공동 연구 논문인 ‘RYANSQL: Recursively Applying Sketch-based Slot Fillings for Complex Text-to-SQL in Cross-Domain Databases’를 아카이브(arXiv)에 공개했습니다. 미국 예일대학교(Yale University)에서 주최한 스파이더 챌린지는 기업이 각종 데이터를 정리 보관할 때 사용하는 데이터베이스가 주어졌을 때 자연어 형태의 사용자 질의 문장을 SQL(Structured Query Language)문으로 변환해주는 NLI2DB(natural..
AI Research 2020. 10. 8. -
JDI-T: Jointly trained Duration Informed Transformer for Text-To-Speech without Explicit Alignment
시작하며 카카오(임단)와 카카오엔터프라이즈 AI Lab(장원, 오경환, 박혜영, 김봉완, 윤재삼)이 함께 쓴 논문 ‘JDI-T: Jointly trained Duration Informed Transformer for Text-To-Speech without Explicit Alignment(이하 JDI-T)’가 Interspeech에 게재 승인됐습니다. Interspeech는 음성 처리 과학기술 분야의 논문을 발표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학술 대회입니다. FastSpeech와 DurIAN과 같은 최신의 음성 합성 모델은 오류가 없는 고품질의 멜-스펙트로그램(Mel-spectrogram) 생성에 탁월합니다. 하지만 훈련에 필요한 음소(phoneme)의 길이 정보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합성 모델과는 별도로, ..
AI Research 2020. 10. 8. -
Deep Metric Learning with Multi-Objective Functions
시작하며 카카오엔터프라이즈 AI Lab(이주영, 노명철)이 쓴 논문 ‘Deep Metric Learning with Multi-Objective Functions’이 컴퓨터 비전 및 패턴 인식 컨퍼런스(CVPR) 워크숍 주제 중 하나인 CVFAD(Computer Vision for Fashion, Art and Design)에 게재 승인됐습니다. 올해로 3번째 열린 CVFAD에서는 패션, 예술, 디자인 등의 창의성이 요구되는 분야에 필요한 생성 모델(generative models), 검색(retrieval), 제품 추천(product recommendation), 이미지 분할(image segmentation), 속성 인식(attribute discovery), 트렌드 예측(trend forecast)..
AI Research 2020. 9. 18. -
기계 독해를 이용한 웹 기반 오픈 도메인 한국어 질의응답
시작하며 카카오엔터프라이즈 AI Lab(최동현, 김응균)이 성균관대학교(신동렬)와 함께 쓴 논문 ‘기계 독해를 이용한 웹 기반 오픈 도메인 한국어 질의응답’이 제31회 한글 및 한국어정보처리 학술대회에 실렸습니다. 한글날을 맞이해 매년 10월마다 열리는 한글 및 한국어정보처리 학술대회는 전산언어학과 언어학, 인공지능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의 연구 논문을 다루고 있습니다. AI Lab은 기계 독해를 이용한 웹 기반 오픈 도메인 한국어 질의응답 시스템을 제안했습니다. 시스템에 사용자 질의가 입력되면, 기존의 검색 엔진으로 최대 1,500개의 문서를 기계 독해 방식으로 실시간으로 분석합니다. 그런 뒤, 각 문서에서 찾은 답을 종합해 최종 답변을 도출합니다. 실험 결과, 제안된 시스템의 평균 실행 시간은 2초 이..
AI Research 2020. 9.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