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엔터프라이즈 채용5
-
Deep Metric Learning with Multi-Objective Functions
시작하며 카카오엔터프라이즈 AI Lab(이주영, 노명철)이 쓴 논문 ‘Deep Metric Learning with Multi-Objective Functions’이 컴퓨터 비전 및 패턴 인식 컨퍼런스(CVPR) 워크숍 주제 중 하나인 CVFAD(Computer Vision for Fashion, Art and Design)에 게재 승인됐습니다. 올해로 3번째 열린 CVFAD에서는 패션, 예술, 디자인 등의 창의성이 요구되는 분야에 필요한 생성 모델(generative models), 검색(retrieval), 제품 추천(product recommendation), 이미지 분할(image segmentation), 속성 인식(attribute discovery), 트렌드 예측(trend forecast)..
AI Research 2020. 9. 18. -
현직 개발자가 들려주는 카카오엔터프라이즈
Why not? If Kakao Enterprise, ( ) 시작하며 2021 카카오 공동체 개발자 신입공채 서류접수가 시작됐습니다. 카카오엔터프라이즈 역시 역량 있는 신입 개발자 영입을 위해 참여하게 되었는데요. 카카오엔터프라이즈를 간단하게 소개하자면, 기술 개발을 선도하고 AI 생태계를 이끌어가고자 각 기술 분야의 국내 최고 전문가들이 모여 새롭게 출범한 회사입니다. 또한, 저희 크루들은 금융, 유통, 제조, 게임 등 다양한 산업군에 우리의 기술력이 함께할 수 있도록 기술과 산업을 결합하고 새로움을 개척해 나가는 데 열중하고 있답니다. 자 그럼, 본격적으로 개발자 신입공채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해볼까요? 카카오엔터프라이즈에 지원하고 싶다, 어떤 회사인지 더 알고 싶다! 하시는 여러분들을 위해 카카오엔터..
Krew Talk 2020. 8. 24. -
카카오미니의 명령어 분류 방법
"헤이 카카오!" 아마 모두 한 번쯤은 들어봤을 친근한 말이죠. 카카오의 스마트 스피커, 카카오미니를 소환하는 말인데요. 카카오미니는 어떻게 사람들의 요청사항을 이해하고 기능을 수행할까요? 사용자가 카카오미니에게 명령을 내렸을 때,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치게 됩니다. (1) 음성인식, (2) 봇 분류, (3) 인텐트 분류, (4) 슬롯 추출, (5) 요청 동작 수행 아래 “SBS 라디오 틀어줘"라는 예시로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변환 단계 설명 1단계. 음성 인식 텍스트 형태인 “SBS 라디오 틀어 줘”로 변환 2단계. 봇 분류 라디오와 관련된 기능 요청임을 인지 3단계. 인텐트 분류 라디오를 틀어달라는 요청인지를 파악. 라디오를 멈추거나, 가능한 라디오 채널 목록을 알려주거나, 지금 듣고 있는 라디오 ..
Tech Log 2020. 4. 24. -
사진에서 사람을 읽다
시작하며 카카오를 비롯한 지도(map)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들은 전국 각지의 도로, 거리 등을 촬영합니다. 하지만 기업이 촬영한 화면을 그대로 서비스에 활용할 수는 없습니다. 촬영된 화면 안에 사람의 얼굴이나 자동차 번호판이 노출되는 것은 사생활 침해가 될 수 있고, 이런 이유로 카카오맵 서비스는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 사람의 얼굴과 차량의 번호판 식별이 어렵도록 흐릿하게 처리(Blurring)를 합니다. [그림 1]에도 사람의 얼굴과 차량의 번호판이 흐릿하게 처리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데, 여기서 큰 문제가 발생합니다. 전국 곳곳에서 찍은 수많은 양의 사진을 사람이 일일이 확인하고, 흐릿하게 처리하는 것은 엄청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작업이라는 것입니다.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
AI Research 2020. 4. 24. -
신경망 번역 모델의 진화 과정
이 글은 2017년 카카오 AI 브런치에 게재된 포스팅을 가져온 것으로, 본문에서 설명하고 있는 모델 성능, 번역 결과 등은 모두 2017년 당시 자료를 바탕으로 합니다. 2017년까지의 신경망 기반 기계번역(Neural Machine Translation, NMT)의 히스토리를 정리했고, 현재는 대세가 된 NMT 모델 Transformer에 대한 전망 또한 담겨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기계번역의 발전 흐름을 이해하고 향후 발전 방향성에 대해서도 생각해볼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시작하며 End-to-End 방식의 신경망 기반 기계번역(Neural Machine Translation, 이하 NMT)이 통계 기반 기계 번역(Statistical Machine Translation, ..
AI Research 2020. 4.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