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log
-
[컨테이너 인터널 #2] 컨테이너 파일시스템
시작하며 안녕하세요. 카카오엔터프라이즈에서 검색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는 검색클라우드기술파트의 Sam(김삼영)입니다. [컨테이너 인터널 #1] 컨테이너 톺아보기에서 예고해 드린 대로 이번 포스팅에서는 컨테이너 파일시스템을 자세히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컨테이너 전용 루트파일시스템을 구성하는 방법, 효율적으로 컨테이너를 유통시키기 위한 패키징 방법, 그리고 컨테이너의 레이어 구조를 살펴보고, 실습을 통해 직접 확인해 보겠습니다. 가능하시다면 실습환경을 미리 준비해주세요. 실습환경은 제 GitHub에 자세히 설명해두었습니다. 루트파일시스템 [컨테이너 인터널 #1]편에서 컨테이너의 역사를 톺아보며, 그 기원인 chroot를 통해 초창기 컨테이너의 모습을 살펴보았는데요. chroot는 프로세스가 루트디렉터리 밖으로..
2022.11.30 -
대화 속에 드러나는 감정을 분석해드립니다!
시작하며 안녕하세요, 카카오엔터프라이즈에서 오픈 도메인 대화 모델을 기획하고 있는 프링과 쌔미입니다. 오늘은 저희가 다른 곳과는 차별화된 감정 분석 모델을 개발한 이야기를 소개하려고 하는데요. 도대체 어떤 모델이기에 이렇게 자신 있게 ‘차별화'되었다고 하는지 지금부터 시작해 볼게요.😉 챗봇이 눈치껏👀 대화할 수 있도록! 저희는 대화 모델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서비스를 기획하고 있어요. 그중에는 업무용 메신저인 카카오워크에 내재되어있는 AI 어시스턴트 '캐스퍼'도 있고요, 카카오톡에서 일상 대화를 나눌 수 있는 '외개인아가'라는 오픈 도메인 챗봇도 있답니다. 대화 인터렉션을 기반으로 여러 다양한 서비스를 기획하다 보니 저희는 챗봇이 사용자와 조금 더 눈치껏 대화를 나누면서 사용자의 요청을 수행해주는 것이 ..
2022.09.28 -
우리는 클라우드 개발에 진심입니다! - SmartNIC 편
시작하며 안녕하세요? 카카오엔터프라이즈에서 클라우드를 개발하는 멀티버스팀 Cosmos파트의 Alvin(김기명)입니다. “따라올 테면 따라와 봐”라는 광고 속 대사, 기억하시나요? 2000년 ADSL 가정용 인터넷 광고에서 초고속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되었던 문구인데요. 당시에 정말 획기적이었던 이 인터넷의 속도는 고작 8 Mbps ADSL였습니다. 그리고 2022년, 클라우드 시대의 우리는 지금 10 Gbps가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20년 전과 비교하면 우리는 약 1,200배 빠른 인터넷을 쓰고 있는 셈입니다. 조금 더 들어가 이더넷(Ethernet) 표준을 살펴보면, 2017년 IEEE 802.3 이더넷 표준화 그룹에서는 400 Gbps 이더넷 속도 표준인 802.3bs 규격을 승인했고, 올해 4..
2022.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