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이카카오6
-
일상에서 언제 어디서나 쓰도록 - 미니링크 개발 이야기
시작하며, 다음 달이면 더 이상 마스크 안 쓰고 다녀도 될 거야… 라는 기대도 옛날이 되어 버린 요즘입니다. 집에서 지내는 시간도 늘었고, 내가 타고 있는 차 밖 풍경도 위험하게 느껴집니다. 지금까지 미덕으로 여겨졌던 만남을 통한 교류는 줄어들었고, 따로 떨어져 혼자 있는 것이 가장 안전해 보이는 시대에 우리는 살고 있습니다. 공교롭게도 2019년부터 우리나라 가구 비중에서 1인 가구가 30%를 차지하며 가장 보편적인 가구 형태로 자리 잡았습니다. 저와 동료들은 이러한 한 명 한 명의 ‘개인’의 일상을 도와주는 여러 가지 일을 하고 있습니다. 이전부터 해 왔다고 하는 게 맞겠네요. 어떤 서비스인지 아실 거예요. 보통은 AI 음성비서 서비스라고 부르죠. 국내, 해외를 가리지 않고 많은 회사들이 앞다투어 서..
Tech Log 2020. 10. 23. -
카카오 i의 작고 소중한 힐링
시작하며 서기 2020년! 우리는 접촉이 공포가 되는 극단적 언택트(Untact) 시대를 맞이하고 말았습니다. 사람보다는 키오스크, 전화보다는 배달 앱, 발품보다는 온라인 쇼핑이 편해진 건 그다지 새로운 이야기도 아니지만, ‘안’하는 것과 ‘못’하는 것은 아주 다르니까요. 실생활의 불편함은 물론이고 불안, 무기력, 우울감을 호소하는 코로나 블루까지 우리의 일상은 꽤 많이 바뀌었습니다. 저 역시도 재택근무로 외로움이 짙어질 즈음에 모든 콘택트 요청이 단비 같았죠. 설령 그게 업무 요청일지라도... (언빌리버블!) 오늘은 언택트 시대의 힐링 서비스를 통해 사람들의 위로가 되고 싶은 마음을 전하고자 합니다. 기술 공유보단 옆집 사는 기획자 이야기로 편히 읽어주세요. 🙏 상반기에 인입된 발화를 살펴보면 [그림 ..
Tech Log 2020. 8. 28. -
카카오 i, 누구냐 넌
시작하며 2017년 1월, 카카오의 새로운 인공지능을 만드는 프로젝트에 들어가게 되었습니다. 인공지능이 담길 첫 번째 제품은 음성으로만 인터랙션을 할 수 있는 스마트 스피커였습니다. 저의 첫 업무는 카카오의 인공지능, 카카오 i의 모습을 만드는 것이었습니다. AI 페르소나, 왜 필요한가? 사람들은 스마트한 오브젝트를 생물이나 사람처럼 생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청소 로봇도 반려동물처럼 느끼며, 이름을 지어주거나 의인화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하물며 사람처럼 말을 하는 카카오 i는 사용자에게 더욱 사람처럼 느껴질 것입니다. 인공지능의 페르소나(AI 페르소나)는 사용자가 카카오 i를 사용할 때 어떠한 사람처럼 느끼게 할 것인지를 정하는 부분입니다. 제품, 서비스 제작에서 브랜딩을 하거나 디자인 콘셉트를 만드는..
Tech Log 2020. 6. 9. -
AI 기술과 전시의 특별한 만남, 이랜드 THE PRIZE 노벨상
오늘날 가장 중요한 기술 중 하나로 자리잡은 AI 기술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모빌리티, IoT, 엔터테인먼트, 헬스케어 등 우리의 생활 곳곳에 더욱 가까워진 AI의 활용 범위 역시 점차 확대되고 있는데요. 최근에는 문화 프로그램 중 하나인 전시회에서 카카오엔터프라이즈의 AI 기술이 적용되어 관람객들에게 편리함과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럼 전시회와 AI의 특별한 만남을 살펴보러 가실까요? 헤이카카오와 전시회가 만나다 국내 처음으로 전시가 2020년 1월 11일부터 5월 31일까지 제주항공우주박물관 1층 기획전시실에서 진행되고 있습니다. 지역 문화예술 발전과 과학영재 발굴을 위한 지역 기여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준비된 이번 전시회는 역대 노벨상 수상자들의 진품 메달 6점과 관련된 ..
Our Story 2020. 4. 25. -
카카오미니의 명령어 분류 방법
"헤이 카카오!" 아마 모두 한 번쯤은 들어봤을 친근한 말이죠. 카카오의 스마트 스피커, 카카오미니를 소환하는 말인데요. 카카오미니는 어떻게 사람들의 요청사항을 이해하고 기능을 수행할까요? 사용자가 카카오미니에게 명령을 내렸을 때,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치게 됩니다. (1) 음성인식, (2) 봇 분류, (3) 인텐트 분류, (4) 슬롯 추출, (5) 요청 동작 수행 아래 “SBS 라디오 틀어줘"라는 예시로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변환 단계 설명 1단계. 음성 인식 텍스트 형태인 “SBS 라디오 틀어 줘”로 변환 2단계. 봇 분류 라디오와 관련된 기능 요청임을 인지 3단계. 인텐트 분류 라디오를 틀어달라는 요청인지를 파악. 라디오를 멈추거나, 가능한 라디오 채널 목록을 알려주거나, 지금 듣고 있는 라디오 ..
Tech Log 2020. 4. 24. -
"헤이, 카카오!"를 불러야 하는 이유
시작하며 카카오미니를 켜면, “이제 ‘헤이, 카카오!’라고 불러주세요”라는 말을 합니다. 여느 음성 인식 스피커와 마찬가지로, 카카오미니에게 원하는 명령을 하려면 일단은 스피커를 불러야 카카오미니가 귀를 기울이고 사용자의 명령을 들을 준비를 합니다. "헤이, 카카오!"와 같이 스마트 스피커를 부르는 단어를 호출 명령어(Wake-up Word) 또는 호출어라고 합니다. 그냥 “야, 노래 좀 틀어봐”라고 하면 편하겠지만, 그러면 스피커는 사용자가 자신을 부르는지 인식하지 못합니다. 그래서 조금 귀찮더라도 정해진 호출 명령어를 불러줘야 합니다. 각 제품마다 여러 가지 호출 명령어가 있으며, 사용자는 이들 중 하나를 선택해서 사용하게 됩니다. 본 글에서는 호출 명령어가 어떻게 정해지는지와 카카오미니가 어떻게 호..
AI Research 2020. 4.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