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nical Communication4
-
[KREW INSIDE] AI 서비스의 기술 문서를 책임지는 사람들, 테크니컬 라이터
AI 서비스의 기술 문서를 책임지는 사람들,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기술 문서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테크니컬 커뮤니케이션 조직을 신설하였습니다. 그리고 그 안에는 완성도 높은 기술 문서 작성부터 관리, 배포, 운영 및 사내 글쓰기 교육까지 모두 담당하는 이들이 있습니다. 바로 테크니컬 라이터인데요, 테크니컬 라이터라는 직무, 실제로 어떤 일을 담당하고 무슨 역량이 요구되는지, 비전은 어떤지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개발자에서 10년 차 테크니컬 라이터로, 이제는 카카오엔터프라이즈 AI서비스플랫폼실의 테크니컬 커뮤니케이션셀을 책임지고 있는 Crystal.yull을 만나 보겠습니다. Q. 자기소개와 함께 테크니컬 커뮤니케이션셀에 대한 소개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저는 카카오엔터프라이즈의 테크니컬 커뮤니케이션 ..
Krew Talk 2020. 11. 27. -
카카오 i 기술문서 사이트 여정, 그리고 벌써 한 달
시작하며 안녕하세요. 어느덧 2020년 가을이 되어 테크니컬커뮤니케이션 팀에서 벌써 세 번째 포스팅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그동안 테크니컬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소개와 기술 문서 작성 5단계라는 주제를 다뤘는데요. 오늘은 "카카오 i 기술문서 사이트(https://docs.kakaoi.ai)"가 오픈한 지 한 달을 맞이하여, 기술문서 사이트의 구축 배경과 실제 릴리즈까지의 고민과 여정을 여러분들과 공유해 볼까 합니다. 혹시 테크니컬 라이터라고 하면 단지 문서만 작성하고 관리한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계실 수도 있는데요. 요즘은 IT 기업들의 문서화 트렌드에 따라, 종이 버전이나 PDF 버전을 벗어나 웹에 문서를 게시하는 과정의 중심에 테크니컬 라이터의 역할이 한층 강조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기술문서 게시를 위한..
Krew Talk 2020. 10. 22. -
기술 문서 작성 5단계
시작하며 안녕하세요. 카카오엔터프라이즈에서 테크니컬 라이터 업무를 진행하고 있는 테크니컬커뮤니케이션 팀의 Crystal(김유리)과 Sandy(차신영)입니다. :) 이전 포스팅(Technical Writer에서 Technical Communicator로…)에서는 Technical Communication에 대한 정의와 역사 그리고 어떤 업무를 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지난번에도 잠깐 언급했듯이 해외에서는 테크니컬 라이팅의 학위 프로그램도 존재하며, 학계에서는 관련 프로세스가 확립 되어있는데요. 이를 바탕으로, 이번 포스트의 주제는 기술적인 정보를 특정 독자들에게 정확하고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해 어떤 프로세스로 진행해야 하는지에 대해 간단히 말씀드리려고 합니다. Kieran Morgan의 Techni..
Krew Talk 2020. 7. 29. -
Technical Writer에서 Technical Communicator로...
시작하며 안녕하세요, 카카오엔터프라이즈에서 Technical Writer(이하 테크니컬 라이터)로 일하고 있는 Sandy입니다. :) 이번 포스팅에서 제가 속한 테크니컬커뮤니케이션 팀에서 하는 일과 관련된 Technical Writing, Technical Writer, Technical Communicator 등의 개념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여러분은, 테크니컬 라이터라는 직업을 들어보신 적 있으신가요? 많은 분들이, 아니 대부분, 라고 들었을 때, 기획이나 개발 직군과 달리 생소한 느낌을 받으셨을 거라고 생각해요. 테크니컬 라이터로서, 아쉽긴 하지만, 제가 과장을 조금 보태서 말하자면 어느 회사에서나 규모는 작아도 어느 직무보다 매력적인 직업이라는 것을 말씀드리고 싶어요. 개념과 직무가 다소 생소하더라..
Krew Talk 2020. 5.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