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LP13
-
대화 속에 드러나는 감정을 분석해드립니다!
시작하며 안녕하세요, 카카오엔터프라이즈에서 오픈 도메인 대화 모델을 기획하고 있는 프링과 쌔미입니다. 오늘은 저희가 다른 곳과는 차별화된 감정 분석 모델을 개발한 이야기를 소개하려고 하는데요. 도대체 어떤 모델이기에 이렇게 자신 있게 ‘차별화'되었다고 하는지 지금부터 시작해 볼게요.😉 챗봇이 눈치껏👀 대화할 수 있도록! 저희는 대화 모델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서비스를 기획하고 있어요. 그중에는 업무용 메신저인 카카오워크에 내재되어있는 AI 어시스턴트 '캐스퍼'도 있고요, 카카오톡에서 일상 대화를 나눌 수 있는 '외개인아가'라는 오픈 도메인 챗봇도 있답니다. 대화 인터렉션을 기반으로 여러 다양한 서비스를 기획하다 보니 저희는 챗봇이 사용자와 조금 더 눈치껏 대화를 나누면서 사용자의 요청을 수행해주는 것이 ..
Tech Log 2022. 9. 28. -
NAACL 2022 참관기
시작하며 안녕하세요. 카카오엔터프라이즈 자연어서비스팀의 Rung(이주성)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제가 올해 직접 발표하고 참관한 NAACL 학회 현장을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NAACL은 North American Chapter of the Association for Computational Linguistics의 약자로, 북미 전산 언어 협회입니다. 이는 자연어처리 분야에서 ACL(컴퓨터 언어학회), EMNLP(자연어 처리의 경험적 방법론을 다루는 학회)와 함께 인지도가 가장 높은 학회 중 하나로, NAACL 2022은 시애틀에서 7월 10부터 15일까지 6일 간 진행되었습니다. 지난 2년 간 코로나로 인해 많은 학회가 비대면으로 개최되던 것과 달리 올해부터 점점 오프라인과 온라인을 적절히 섞은 하..
Our Story 2022. 9. 22. -
스마트한 컨택센터의 핵심, 챗봇에 대하여
시작하며 안녕하세요. 커넥트센터팀의 Rothy입니다. 최근 코로나19의 여파로 비대면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고객센터 업계에도 디지털 트랜스 포메이션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그중 대표적인 플랫폼이 바로 AICC(AI Contact Center)입니다. 오늘은 AICC의 핵심 서비스인 챗봇에 대해 이야기하려고 합니다. AICC에서 챗봇이 왜 중요한지, 그리고 AICC의 챗봇이라면 어떠한 기능을 필히 갖추어야 하는지 설명하고자 합니다. 챗봇에 대하여 ▪ AICC? AICC는 AI와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고객센터의 상담 업무를 자동화하고 상담원과 고객의 이용 경험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솔루션입니다. 고객 접근성과 편의성 향상을 위해 전화 외에 다양한 채널을 옴니 채널(Omnich..
Tech Log 2021. 12. 24. -
한국어 자연어 처리 기술과 AI, 어디까지 왔니?
당신은 10년 후, AI의 미래를 어떻게 그리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 저희는 카카오엔터프라이즈에서 AI 대화 모델과 서비스를 기획하고 있는 프링과 쌔미입니다. 갑자기 ‘AI의 미래’라니 너무 거창하죠? 당장 오늘 점심 뭐 먹을지도 모르는데 말이에요. (머쓱) 😇 어쩐지 이 질문은 어렸을 때 그렸던 (추억의...) 과학 상상화 느낌을 주기도 하는데요. 아직은 뭐도 안 되고, 뭐도 안 되는데… 를 생각하다 보면 우리는 과연 어떤 기술과 서비스를 만들 수 있는 걸까? 라는 생각에 다다르기 때문에 약간 초라해지기도 합니다. AI 대화 서비스를 담당하다 보면 SF 콘텐츠를 시청하면서 SF의 단골인 AI 어시스턴트들을 그냥 넘기지 못하고, 서비스 분석을 하고 있는 직업병 아닌 직업병이 생기기도 하더라고요. ‘우리..
Tech Log 2021. 10. 7. -
사오정 API - 음악 재생 발화는 내게 맡겨주세요. [기술편] #자연어처리 #음성인식_후처리 #발화교정
어렸을 적 즐겨보던 만화 중 ‘날아라 슈퍼보드'라는 만화가 있었습니다. 그 만화에는 무슨 말을 해도 잘 알아듣지 못하는 ‘사오정'이라는 캐릭터가 등장하는데요. 사오정은 가는 귀를 먹어 귀의 주름을 걷고 이야기를 듣지 않으면 이야기를 엉뚱하게 알아들어 많은 해프닝을 만들어 내기도 했습니다. 이렇게 만화 속 사오정처럼 카카오 i도 가끔 명령을 완벽히 알아듣지 못하는 경우가 있죠. 저희는 카카오 i가 무슨 말을 해도 잘 알아들을 수 있도록 “사오정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만화 속 사오정은 말귀를 못 알아듣는 캐릭터로 등장하지만, 사오정 프로젝트에서의 사오정은 카카오 i 발화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음악 재생 발화의 오류를 획기적으로 줄여주는 고마운 캐릭터임을 밝히며 글을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사오정 프로젝..
Tech Log 2021. 5. 3. -
한국어 챗봇에서의 오류에 강건한 한국어 문장 분류를 위한 어절 단위 임베딩
시작하며 카카오엔터프라이즈 AI Lab(최동현, 박일남, 신명철, 김응균)이 성균관대학교(신동렬)와 함께 쓴 논문 ‘한국어 챗봇에서의 오류에 강건한 한국어 문장 분류를 위한 어절 단위 임베딩’이 제31회 한글 및 한국어정보처리 학술대회에 실렸습니다. 한글날을 맞이해 매년 10월마다 열리는 한글 및 한국어정보처리 학술대회는 전산언어학과 언어학, 인공지능과 관련된 다양한 주제의 연구 논문을 다루고 있습니다. AI Lab은 오류를 포함하는 한국어 문장 분류 시스템의 성능을 높이고자 새로운 통합 어절 임베딩 방식을 제안했습니다. 이 방식은 여러 가지 다른 단위의 임베딩을 하나로 통합하고 데이터에 자동으로 노이즈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오류를 포함한 문장 분류 성능을 높입니다. 자체 실험 결과, 기존 시스템과 비교해..
AI Research 2020. 12.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