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Log37
-
우리는 클라우드 개발에 진심입니다! - SmartNIC 편
시작하며 안녕하세요? 카카오엔터프라이즈에서 클라우드를 개발하는 멀티버스팀 Cosmos파트의 Alvin(김기명)입니다. “따라올 테면 따라와 봐”라는 광고 속 대사, 기억하시나요? 2000년 ADSL 가정용 인터넷 광고에서 초고속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되었던 문구인데요. 당시에 정말 획기적이었던 이 인터넷의 속도는 고작 8 Mbps ADSL였습니다. 그리고 2022년, 클라우드 시대의 우리는 지금 10 Gbps가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20년 전과 비교하면 우리는 약 1,200배 빠른 인터넷을 쓰고 있는 셈입니다. 조금 더 들어가 이더넷(Ethernet) 표준을 살펴보면, 2017년 IEEE 802.3 이더넷 표준화 그룹에서는 400 Gbps 이더넷 속도 표준인 802.3bs 규격을 승인했고, 올해 4..
Tech Log 2022. 4. 5. -
스마트한 컨택센터의 핵심, 챗봇에 대하여
시작하며 안녕하세요. 커넥트센터팀의 Rothy입니다. 최근 코로나19의 여파로 비대면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고객센터 업계에도 디지털 트랜스 포메이션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그중 대표적인 플랫폼이 바로 AICC(AI Contact Center)입니다. 오늘은 AICC의 핵심 서비스인 챗봇에 대해 이야기하려고 합니다. AICC에서 챗봇이 왜 중요한지, 그리고 AICC의 챗봇이라면 어떠한 기능을 필히 갖추어야 하는지 설명하고자 합니다. 챗봇에 대하여 ▪ AICC? AICC는 AI와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고객센터의 상담 업무를 자동화하고 상담원과 고객의 이용 경험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솔루션입니다. 고객 접근성과 편의성 향상을 위해 전화 외에 다양한 채널을 옴니 채널(Omnich..
Tech Log 2021. 12. 24. -
내 마음대로 설정하는 나만의 호출명령어
창밖에 구름이 잔뜩 낀 날 날씨를 물어보면 친절히 우산 잊지 말라고 대답해 주는 너, ‘헤이카카오’가 아니라 내가 좋아하는 가수의 이름이었으면 해. 2020년을 지나 2021년까지 이어지고 있는 코로나 시대, 여러분들은 안녕히 잘 지내고 계신가요? 코로나로 인해 우리의 삶에는 많은 변화가 있었고, 우리는 더 많은 시간을 집에서 보내고 있습니다. 언택트 시대를 맞이하여 스마트 스피커 또한 새로운 시대를 맞이했는데요. 집 안에 머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스마트 스피커의 진가가 드러나기 시작한 것이죠. 코로나 시대 이전에는 스마트 스피커(AI 스피커)가 단순히 노래를 재생해주고 날씨를 알려주었다면, 언택트 시대의 스마트 스피커는 언제나 말을 걸 수 있는 대상으로서, 위로되어주는 ‘친구'같은 존재가 되었습니다. ..
Tech Log 2021. 11. 8. -
WebRTC 응용 서비스를 개발하는 2가지 방법
시작하며 코로나로 인해 마음 놓고 서로를 대면할 수 없는 시대로 살아온 지 벌써 2년이 되어갑니다. 우리 안에 공포가 자리 잡았고 그렇게 금방이라도 와르르 무너질 것 같았던 인간 사회는 이제는 그럭저럭 적응해가고 있는 듯합니다. 다행스럽게도 21세기를 살아가는 인간에게는 직접 만나지 않고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여러 도구를 갖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중 하나가 바로 오늘 이야기할 WebRTC 기술인데요. 오늘 포스팅에서는 WebRTC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WebRTC 응용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는 2가지 방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WebRTC란? WebRTC는 서버를 최대한 거치지 않고 P2P(Peer-to-Peer Network)로 브라우저나 단말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는 기술의 웹 표준입니다. ..
Tech Log 2021. 10. 25. -
헤이카카오 x 직방 프롭테크 프로젝트, API로 부동산 Bot 만들기
시작하며 안녕하세요. 카카오엔터프라이즈 데이터기획파트의 Minnie 입니다. 포스팅을 시작하기 전에 카카오엔터프라이즈의 데이터기획파트는 어떤 일을 하는지 궁금해하실 분들이 계실 것 같아 저희팀에 대해 짧게 소개하고 싶은데요. 데이터기획파트는 수집하고 분석된 데이터의 인사이트와 가치를 발견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고객사의 데이터 API와 헤이카카오 서비스를 연동하여 더 많은 고객에게 정보를 전파할 수 있도록 기획하는 업무를 담당합니다. 최근 저희 팀은 부동산 산업(Property)에 IT 기술(Technology)이 결합된 ‘프롭테크(Proptech)’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이미 상당수의 프롭테크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직방과 함께 부동산 Bot을 기획하여 헤이카카오 서비스에서 부동산 시세를 제공하는 프로젝트..
Tech Log 2021. 10. 18. -
한국어 자연어 처리 기술과 AI, 어디까지 왔니?
당신은 10년 후, AI의 미래를 어떻게 그리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 저희는 카카오엔터프라이즈에서 AI 대화 모델과 서비스를 기획하고 있는 프링과 쌔미입니다. 갑자기 ‘AI의 미래’라니 너무 거창하죠? 당장 오늘 점심 뭐 먹을지도 모르는데 말이에요. (머쓱) 😇 어쩐지 이 질문은 어렸을 때 그렸던 (추억의...) 과학 상상화 느낌을 주기도 하는데요. 아직은 뭐도 안 되고, 뭐도 안 되는데… 를 생각하다 보면 우리는 과연 어떤 기술과 서비스를 만들 수 있는 걸까? 라는 생각에 다다르기 때문에 약간 초라해지기도 합니다. AI 대화 서비스를 담당하다 보면 SF 콘텐츠를 시청하면서 SF의 단골인 AI 어시스턴트들을 그냥 넘기지 못하고, 서비스 분석을 하고 있는 직업병 아닌 직업병이 생기기도 하더라고요. ‘우리..
Tech Log 2021. 10. 7.